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Tags
- Galera Cluster
- drbd
- wildfly jboss
- port description
- unix_socket
- dell
- snmp
- mgmtip
- etcd
- RHEL8
- 웰카
- maxscale
- Network
- banner
- Path
- CEP
- vmware
- n15148
- mariadb
- web&was apche htaccess
- openldap
- docker
- n1548
- perplexity
- admin port
- 우파푸른하늘
- Auth
- Storage
- data-door
- MotD
- 우파푸른하늘80만이벤트
- CentOS
- Kubernetes
250x250
반응형
목록maxscale (1)
전산쟁이의 기억노트
maxscale기반의 DB 이중화 운영
개 요 기존 Mysql + myql-mmm 구조기반에서의 DB이중화 구조에서의 문제점 비동기식 replication 구조에서 read / write가 많은 경우 replication이 깨지거나 지연되는 현상이 빈번함 mmm의 버전 업데이트가 없음 ( latest버전인 2.2.1은 2012년 12월이 마지막) mmm 버그로 인한 failover / failback 이슈가 발생이 있음 Maxscale 소개 Mariadb에서 제공하는 DB클러스터 구성 glaera cluster를 이용한 데이터이중화, maxscale를 이용한 db proxy 구조로 되어 있음 기본적으로 BSD라이선스를 적용하고 있고, BSD라이선스의 경우 S/W 개발사가 적용한 날짜 이후에는 GPL 라이선스로 변경됨 BSD 라이선스를 적용받는..
mysql&mariadb
2022. 7. 25. 00:20